미리 정해놓은 규칙에 따라 워크로드를 자동으로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기술

autoscale group에 인스턴스를 추가하고 최소대수, 최대대수, 스케일링 정책 주면 확대 축소 됨

확대시에는, launch configuration에 서버 실행 환경 구성 ( 실행환경에 템플릿으로 AMI 상세정보, 인스턴스 타입, 키 페어, 시큐리티 그룹, IAM 인스턴스 프로파일, 유저 데이터, 부착 스토리지 등 ) 을 가지고 인스턴스 생성 후 ELB에 attach하여 서비스의 traffic을 load balacing하는 형태

 

'AWS > AWS Advanced Day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AWS Security Group  (0) 2021.01.12
07 AWS EC2 AMI  (0) 2021.01.12
06 AWS EBS  (0) 2021.01.06
05 AWS ARN  (0) 2021.01.05
04 AWS S3  (0) 2021.01.05

EC2의 트래픽 허용 정책 적용

가상의 firewall 역할을 한다. 

 

 

특징 : 

기본은 모든 아웃바운드 트래픽 허용

허용만 정할 수 있음

인스턴스에서 요청에 대한 응답 트래픽은 인바운드 규칙과 상관없이 전달 허용 됨 (response이기 때문)

하나의 인스턴스에 복수개의 시큐리티 그룹을 연결가능하며, 규칙 세트를 통해 허용 여부 결정

 

규칙 :

프로토콜 : 6(TCP), 17 (UDP), 1 (ICMP)

포트범위 : TCP, UDP으 ㅣ허용범위

ICMP 타입과 코드

source / destination : inbound / outbound traffic

IPv4 : /32 prefix

IPv6 : /128 prefix

CIDR 블록

 

디자인 가이드 라인 : 

0.0.0.0/0 범위의 모든 포트를 여는 것 금지

EC2가 ELB에서 들어오는 트래픽 만 받아들이도록 허용, ELB에 security group 적용

사용하지 않는 security group 제거 : 동적이기 때문에 잘 못 assign되면 open되어버림, 참조를 찾기가 어려움

기본 EC2 OPEN 이 아닌 VPC 생성을 통한 EC2 보호, bastion host 통해서 접근

 

dzone.com/articles/5-best-practices-for-aws-security-groups

 

5 Best Practices for AWS Security Groups - DZone Security

This post looks at the best practices for AWS Security Groups and how these practices can help protect your data by restricting access to certain IP addresses.

dzone.com

 

 

ko.wikipedia.org/wiki/%EC%9D%B8%ED%84%B0%EB%84%B7_%EC%A0%9C%EC%96%B4_%EB%A9%94%EC%8B%9C%EC%A7%80_%ED%94%84%EB%A1%9C%ED%86%A0%EC%BD%9C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 기록된 주요 프로토콜 가운데 하나이다. 네트워크 컴퓨터 위에서 돌

ko.wikipedia.org

 

'AWS > AWS Advanced Day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AWS Autoscale  (0) 2021.01.12
07 AWS EC2 AMI  (0) 2021.01.12
06 AWS EBS  (0) 2021.01.06
05 AWS ARN  (0) 2021.01.05
04 AWS S3  (0) 2021.01.05

EC2는 VM에서 하나의 가상머신이다. VMware나 VirtualBox 등을 사용하여 본인의 PC에서 가상머신을 구동해 본 경우라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하나의 가상머신에는 PC혹은 서버와 마찬가지로, OS, CPU, MEM, DISK, Controller 및 NETWORK IF가 attach 된다. 물론 가상의 자원이지만 OS는 일반 자원으로 인식한다. 

그럼 그렇게 가상머신을 만들면 말 그래도 가상의 서버 혹은 PC가 하나 셋업이 된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OS 이미지를 attach 한 다음에 설치하면 일반 서버에 OS 설치과정과 동일하다. 이렇게 OS 를 설치 완료하고 가상머신의 전원을 끄면 메모리까지 해제되는데, 이때 설치된 전체 OS 파일은 설치 이미지로 export가 가능하고 이후에도 이미지를 가지고 가상머신을 만들면 처음부터 설치할 필요없이 동일한 가상머신이 만들어진다. 

AWS에서는 이를 AMI (Amazon Machine Image) 라고 한다. AMI 즉 가상머신의 이미지는 OS 뿐만 아니라 환경실행정보 config, 부차적인 application, database 등 OS 설치 가능한 자원을 설치 후에 저장가능하다. 즉 사용자 정의 AMI가 생성가능하다는 의미이다. 

AMI 하나로 여러대의 가상머신을 띄울 수 있는데, 이때 IP자원과 여러가지 config 등이 외부 구성으로 가능해야하는데 AWS의 장점이 이런 config가 다 서비스로 되어 있는 점 (예를 들어 EIP 등) 이다.

즉 Amazon 내부에는 가상이미지를 관라하고 띄우는 가상머신 farm이자 Virtual Machine Server 가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가상머신이 disk, network, cpu, memory 자원을 공유(혹은 독점)하는 형태로 운영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placement group에서 인스턴스를 launching 하면 단일 AZ 내에서 인스턴스를 논리적 그루핑하여 네트워크대역폭 더 많이 사용가능함.

초기에 AMI 이미지 자체는 S3에 저장되어 있으며 로딩시 인스턴스 스토에에 copy되어 로딩(instance store backed AMI)되면서 인스턴스의 블록 디바이스로 인식되고 마운팅 됨. 하지만 EBS를 제공하면서 이미지를 EBS 볼륨기반(EBS backed AMI)으로 운영함. 인스턴스 스토어 기반은 stop 이 지원되지 않음, EBS 기반은 스냅샷도 제공됨 (EBS는 해당 VMS에 붙어 있는 SAN 일 것으로 추측, EFS는 NAS 일 것이고), AMI는 리젼별 리소스임

 

EC2 생성 순서 :

EC2 시작  
AMI 선택  
인스턴스 유형  vCPU, 메모리, 인스턴스 스토리지, 네트워크 성능
인스턴스 세부정보 구매옵션 : spot instance
네트워크 : VPC
서브넷 : VPC에 할당된 subnet 선택
PUBLIC IP 할당 :
배치 그룹 : 배치그룹에 인스턴스 추가
용량 예약 :
IAM 역할 :
종료 방식 : 중지


스토리지 추가 기본 : 루트 볼륨
볼륨 유형 : IOPS SSD, General SSD, HDD
태그 추가 tag는 과금에서 그룹핑 및 관리에 유리
보안그룹 신규 보안 그룹
기존 보안 그룹
인스턴스 시작  
키페어  
인스턴스 운영  

 

en.wikipedia.org/wiki/Amazon_Elastic_Compute_Cloud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Amazon cloud computing platform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EC2) is a part of Amazon.com's cloud-computing platform, Amazon Web Services (AWS), that allows users to rent virtual comp

en.wikipedia.org

 

openfoo.org/blog/amazon_ec2_underlying_architecture.html

 

On Amazon EC2's Underlying Architecture

01 Feb 2010 Many people know that Amazon Web Services are one of the big players in the cloud computing business, and especially their Infrastructure as a Service offering EC2 is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Few people know that EC2 is probably one of th

openfoo.org

Own AMI 이미지를 빌드하는 방법은 아래 참조

https://aws.amazon.com/image-builder/

 

EC2 이미지 빌더

AWS 제공 및/또는 사용자 지정 템플릿이 포함된 보안 이미지 예에는 1/ 보안 패치 적용, 2/ 강력한 암호 적용, 3/ 전체 디스크 암호화 켜기, 4/ 필수가 아니면서 열려 있는 모든 포트 닫기, 5/ 소프트

aws.amazon.com

 

'AWS > AWS Advanced Day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AWS Autoscale  (0) 2021.01.12
08 AWS Security Group  (0) 2021.01.12
06 AWS EBS  (0) 2021.01.06
05 AWS ARN  (0) 2021.01.05
04 AWS S3  (0) 2021.01.05

EBS : Elastic Block Storage

EC2를 위한 블록 수준 영구 스토리지 볼륨

블록 : 균등한 사이즈 ( 블록사이즈) 로 정의된 저장 공간, 할당을 위해서 미리 영역을 나누어 놓고 처리하기 위한 단위

볼륨 : 하나의 파일시스템을 갖춘 하나의 접근 가능한 스토리지 영역

EBS는 인스턴스 수명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존재

EBS는 형식이 지정되지 않은 블록 디바이스처럼 동작

EC2 인스턴스에 마운트 하여 사용

인스턴스에 연결된 EBS 볼륨은 스토리지 볼륨을 표시됨

EC2의 부프 파티션으로 사용되거나 표준 블록 디바이스로 사용

하나의 인스턴스에 EBS 볼륨을 여러개 부착 가능, 부트와 데이터 볼륨 나누는 방식

동일 AZ존에 속한 자원

볼륨 크기는 1G - 16T까지 가능

 

EBS 종류

인스턴스 스토어 instance store : instance의 로컬 스토리지 : 인스턴스를 위한 일시적인 스토리지

SSD

HDD 

 

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ebs-volume-types.html

 

Amazon EBS 볼륨 유형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2012년 이전에 만들어진 일부 AWS 계정은 프로비저닝된 IOPS SSD(io1) 볼륨을 지원하지 않는 us-west-1 또는 ap-northeast-1의 가용 영역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리전 중 하나에 io1

docs.aws.amazon.com

 

 

 

 

 

 

ko.wikipedia.org/wiki/%EB%B3%BC%EB%A5%A8_(%EC%BB%B4%ED%93%A8%ED%8C%85)

 

볼륨 (컴퓨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컴퓨터 운영 체제 환경에서, 볼륨(volume) 또는 논리 드라이브(logical drive)는 하나의 파일 시스템을 갖춘 하나의 접근 가능한 스토리지 영역으로, 일반적으로(꼭

ko.wikipedia.org

 

'AWS > AWS Advanced Day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AWS Security Group  (0) 2021.01.12
07 AWS EC2 AMI  (0) 2021.01.12
05 AWS ARN  (0) 2021.01.05
04 AWS S3  (0) 2021.01.05
03 AWS storage  (0) 2021.01.05

ARN : Amazon Resource Names

docs.aws.amazon.com/ko_kr/general/latest/gr/aws-arns-and-namespaces.html

 

Amazon 리소스 이름(ARN) - AWS 일반 참조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ARN은 AWS 리소스 (혹은 자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string과 : 구분자로 구분된 이름

AWS는 API나 SDK를 통하여 서비스를 이용가능하므로, 어떤 자원에 대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ARN과 명령어 (api일 경우 api 주소) 가 필요하다.

 

ARN 형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이다.
arn:partition:service:region:account-id:resource-id

arn:partition:service:region:account-id:resource-type/resource-id

arn:partition:service:region:account-id:resource-type:resource-id

 

S3에 대한 ARN 주소 형식 예제는 다음과 같다.

arn:aws:s3:::bucket_name/key_name

arn:aws:s3:::examplebucket/developers/design_info.doc

arn:aws:s3:::examplebucket/*

arn:aws:s3:::*

arn:aws:s3:::example?bucket/*

 

실제 S3 작업 요청 예제는 다음과 같다.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Sid": "statement1",
            "Effect": "Allow",
            "Principal": {
                "AWS": "arn:aws:iam::12345678901:user/Dave"
            },
            "Action": [
            "s3:PutObject",
            "s3:PutObjectAcl"
            ],
            "Resource": "arn:aws:s3:::awsexamplebucket1/*"
        }
    ]
}

docs.aws.amazon.com/ko_kr/AmazonS3/latest/dev/using-with-s3-actions.html

 

Amazon S3 작업 -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Amazon S3 작업 Amazon S3에서는 정책에서 지정할 수 있는 권한 집합을 정의합니다. 이것은 특정 Amazon S3 작업에 각각 매핑되는 키워드입니다. Amazon S3 작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mazon Simple Storage Servic

docs.aws.amazon.com

 

'AWS > AWS Advanced Day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AWS Security Group  (0) 2021.01.12
07 AWS EC2 AMI  (0) 2021.01.12
06 AWS EBS  (0) 2021.01.06
04 AWS S3  (0) 2021.01.05
03 AWS storage  (0) 2021.01.05

Simple Storage Service 이다.

1. region 서비스 이다.

2. 2006년 3월 4일 서비스 런칭

3. AWS의 최초 오픈 서비스이다.

4. Amazon에 상품 이미지가 많으니 이를 서비스 하기 위해서 만들어 졌다고 풍문으로 들었음

5. object의 metadata와 globally unique identifier ( access end point로 이해), block storage in multiple servers

6. 3개 ( 혹은 이상)의 redundancy data가 region간에 복제됨

7. 한개의 파일이 여러개의 block file로 분산 구성

8. 파일 수정은 실제 파일 수정이 아니라 metadata에서의 link 새로 연결

9. HDFS와 비교

10. block이 존재하는 서버의 분산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환경의 이점

11. CDN으로 바로 연계 cloud front와 연계됨

12. EMR에서 인식가능한 파일시스템

13. VPC로 제어하지 않는 서비스

14. redundancy replicated된 block이 fail이 되면 다른 곳에 복제를 함.

15. 동시에 3개의 다른 시설이 장애가 날 확률이 99.99999999 % ( eleven 9's durability)

16. 즉 신뢰성은 99.999999999 가용성은 99.99 (서비스 fail안날 확률)

17. 버킷은 폴더 개념인데 리전에서 유일한 이름으로 명명해야 한다.

18. 버킷의 역할, 네임스페이스 최상위, 비용 부담 계정 연결, 엑세스 컨트롤 수행, 사용량 보고

19. S3는 REST API로 접근가능, PATCH도 create에 대응됨

20. concurrency에 대한 lock mechanism은 없으며 last time stamp 요청을 따름

 

99.99 % 신뢰성은 다음의 다운타임을 허용한다.

일간 : 8.6 초,  주간 : 1분 0.5초, 월간 : 4분 23.0초, 연간 : 52분 35.7초

 

architecture

image reference : www.slideshare.net/AmazonWebServices/amazon-s3-masterclass-61085996

 

 

waspro.tistory.com/488

'AWS > AWS Advanced Day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AWS Security Group  (0) 2021.01.12
07 AWS EC2 AMI  (0) 2021.01.12
06 AWS EBS  (0) 2021.01.06
05 AWS ARN  (0) 2021.01.05
03 AWS storage  (0) 2021.01.05

File : EFS : NFS Protocol 사용 : 리눅스 base : 공유 network storage

 

FSx : window version network storage

 

Block : EBS : EC2 부트 볼륨 및 데이터베이스 저장영역 : 동일한 하드웨어 장치의 하드웨어 storage 사용

 

Instance Storage : block 단위 storage : EC2와 연결함, 차이는 휘발성을 가진다.

 

Object : S3 : 객체 ( 일반 파일, 이미지, 비디오 ) 저장

 

Glacier : 

 

  file block object
공유 가능 불가 가능
파일수정 가능 가능 불가 ( 수정은 version 증가)
비용 high medium low

 

https://docs.aws.amazon.com/ko_kr/whitepapers/latest/aws-overview/storage-services.html

 

스토리지 - Amazon Web Services 개요

스토리지 Amazon Elastic Block Store Amazon Elastic Block Store(Amazon EBS)는 AWS 클라우드의 Amazon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영구적인 블록 스토리지 볼륨을 제공합니다. 각 Amazon EBS 볼륨은 가용 영역 내에서 자동

docs.aws.amazon.com

 

https://docs.aws.amazon.com/whitepapers/latest/aws-overview/storage-services.html

 

Storage - Overview of Amazon Web Services

Storage Amazon Elastic Block Store Amazon Elastic Block Store (Amazon EBS) provides persistent block storage volumes for use with Amazon EC2 instances in the AWS Cloud. Each Amazon EBS volume is automatically replicated within its Availability Zone to prot

docs.aws.amazon.com

 

https://mitrai.com/tech-guides/eight-types-of-aws-storage-services-explained/

 

Eight types of AWS storage services explained

 

mitrai.com

 

 

'AWS > AWS Advanced Day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AWS Security Group  (0) 2021.01.12
07 AWS EC2 AMI  (0) 2021.01.12
06 AWS EBS  (0) 2021.01.06
05 AWS ARN  (0) 2021.01.05
04 AWS S3  (0) 2021.01.05

+ Recent posts